2021년 1학기 행복에이르는지혜 기말시험 key point(핵심) 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3 19:53
본문
Download : 20211_기말_문화4_행복에이르는지혜.pdf
제 5 장 에피쿠로스의 행복론 _ 이준석
③ 소크라테스는 정이가 왜 좋은 것이고 정이로운 사람이 왜 행복한지 국가 전체를 통해 설명(explanation)하기 스타트함 ② 이 작품에서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의 부자 노인 케팔로스의 집에 초대받아 곧바로 정이를 주제로 대화를 스타트함
제2장 플라톤의 행복론
행복에이르는지혜,방통대행복에이르는지혜,방송대행복에이르는지혜,행복에이르는지혜시험,행복에이르는지혜요약,행복에이르는지혜기말시험
4. 국가의 형성
제 3 장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_ 이준석
2021년 1학기 행복에이르는지혜 기말시험 key point(핵심) 체크
① 이상적인 영혼의 상태는 이성이 주도권을 쥐고 지혜를 추구하는 가운데, 기개와 욕구 역시 각기 제 할 일을 최상으로 수행하면서 이성에 협조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임
2. 영혼의 중요성
1) 정이로운 국가란?
Download : 20211_기말_문화4_행복에이르는지혜.pdf( 62 )
1) 영혼의 중요성 의미
제 1 0 장 아도르노의 행복론 _ 정진범
1.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① 국가는 플라톤의 대표적인 대화편임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1) 행복한 삶
③ 욕구가 올바로 작동할 때 얻는 즐거움이나 영혼의 절제된 상태에서 추구하는 욕구의 즐거움뿐만 아니라 기개가 주는 승리와 명예의 즐거움도 이성이 주는 배움의 즐거움도 동시에 누림
방송통신 > 기말시험
3. 국가: 정이에 대하여
① 플라톤은 통념상의 좋음에 대한 욕구를 제대로 조절하는 성품을 길러낼 행복도 가능할 것이라고 알려줌
제 4 장 스토아 학파의 행복론 _ 이준석
- 중략 -
6. 정이로운 사람, 행복한 삶
5. 정이로운 국가
서구 지성사에서 철학의 기틀을 다졌을 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한 철학자로 손꼽히는 플라톤은 30여 편의 저술을 남겼고, 편지글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저술은 그의 스승 소크라테스가 등장하여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 때문에 플라톤의 저술은 소크라테스적인 대화편이라고 부름
서로가 자기 일에 매진하며 서로가 서로의 덕을 보도록 구성된 공동체가 최초의 국가임
제 2 장 플라톤의 행복론 _ 이준석 제 3 장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_ 이준석 제 4 장 스토아 학파의 행복론 _ 이준석 제 5 장 에피쿠로스의 행복론 _ 이준석 제 6 장 서양 중세철학의 행복론 _ 김율 제 7 장 근대 영국의 행복론(I) _ 최도빈 제 8 장 근대 영국의 행복론(II) _ 최도빈 제 9 장 스피노자의 행복론 _ 현영종 제 1 0 장 아도르노의 행복론 _ 정진범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제 9 장 스피노자의 행복론 _ 현영종
② 플라톤은 소크라테스 최후의 날들을 그리면서도 영혼 돌보기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함

③ 세 계급이 모여 조화로운 하나의 유기체와도 같은 국가를 이루는 모습을 두고 정이라고 함
1) 국가 형성의 의미
제 6 장 서양 중세철학의 행복론 _ 김율
① 소탈한 공동체의 모습은 그리 오래 유지될 수 없음
1) 정이에 대하여
② 가장 바람직한 사람은 그 영혼이 이상 국가를 닮아 정이로운 사람이며 최악의 유형은 그 영혼이 참주정을 닮아 자기 욕구만을 채우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람임
② 지혜로운 통치자와 용감한 조력자, 그리고 생산자가 각자의 적성 때라 맡은 일을 제대로 해내고, 서로 반목하지 않으며 조화로운 공동체를 구성할 때, 이 나라는 아름다운 국가, 즉 이상 국가가 됨
제 2 장 플라톤의 행복론 _ 이준석
제 7 장 근대 영국의 행복론(I) _ 최도빈
설명
순서
제 8 장 근대 영국의 행복론(II) _ 최도빈
다.